-
19
- 이병주 교수의 연세 E스포츠 연구실, CHI 2024에서 발표하는 논문 네 편 중 두 편이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 (2024-05-03)
- 이병주 교수의 연세 E스포츠 연구실, CHI 2024에서 발표하는 논문 네 편 중 두 편이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 수상 2024년 5월, 이병주 교수가 지도하는 연세 E스포츠 연구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국제 학술 대회인 CHI 2024에 네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Quantifying Wrist-Aiming Habits with A Dual-Sensor Mouse: Implications for Player Performance and Workload" 논문은 두 개의 광학 센서가 장착된 마우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목 사용 습관 정도를 정량화하는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손목 사용 습관과 조준 성능, 상지 부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Characterizing and Quantifying Expert Input Behavior in League of Legends" 논문은 리그 오브 레전드 플레이어의 입력 행동 수준을 특성화, 정량화하는 것부터 시각화 작업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실현 가능한 교훈을 제공하는 것까지, 전체적인 입력 행동 분석 파이프라인을 보여주었다. "Real-time 3D Target Inference via Biomechanical Simulation" 논문은 생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합성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양한 동작 관련 요소를 포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User Performance in Consecutive Temporal Pointing: An Exploratory Study” 논문은 다양한 CTP (Consecutive temporal pointing) 시나리오에서의 사용자 성능을 광범위하게 탐색했으며, CTP가 두 개의 일반적인 temporal pointing process들로 간주될 수 없는 고유한 작업임을 밝혔다. 이 중 두 편의 논문은 상위 5%의 논문에게만 수여되는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Link: Quantifying Wrist-Aiming Habits with A Dual-Sensor Mouse: Implications for Player Performance and Workload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 : https://programs.sigchi.org/chi/2024/program/content/146862 Characterizing and Quantifying Expert Input Behavior in League of Legends : https://programs.sigchi.org/chi/2024/program/content/148156 Real-time 3D Target Inference via Biomechanical Simulation (Best Paper Honorable Mention Award) : https://programs.sigchi.org/chi/2024/program/content/147400 User Performance in Consecutive Temporal Pointing: An Exploratory Study : https://programs.sigchi.org/chi/2024/program/content/147090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8
- 여진영 교수 연구팀, 구글 딥마인드를 압도하는 초거대언어모델 연구 성과 공개 (2024-04-09)
- 2024년 4월에 Arxiv에 선공개 된 여진영 교수 연구팀 채형주 학생의 최신 연구가, 구글 딥마인드의 ‘자기 발견(self-discover)’ 프레임워크를 큰 차이로 뛰어넘는 추론 능력을 보여주며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해당 연구는 AI분야의 유명 트위터 인플루언서들에게 소개되어 약 3만 5천회의 조회수에 달하는 뜨거운 관심을 받는 중이다. 이 연구는 유영재 교수와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초거대언어모델(LLM)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여진영, 유영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이를 통해 언어모델이 복잡한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방법론은 초거대언어모델과 소형언어모델이 함께 작동해 비용 효과적인 추론이 가능하다는 큰 이점을 제시하였다. Link: https://huggingface.co/papers/2404.02575 https://twitter.com/_akhaliq/status/1775743181885186214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7
- 광주과학기술원(GIST) 해커톤 전체 2위 UN상 수상 (2024-04-01)
- 2024년 3월 23일 (토) 부터 3월 24일 (일) 까지 1박 2일의 일정으로 치러진 AI4Good 해커톤에서 우리대학 학생들로 구성된 팀이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주최하여 광주과학기술원 (GIST) 에서 열린 이 해커톤에서 컴퓨터과학과 4학년 임희원, 김지안, 박종헌, 이상헌, 전희재 학생들로 구성된 ALLAW 팀은 17 개 대학 소속 100 명의 학부/대학원 학생들로 이루어진 25 개의 팀들이 참가한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에 진출한 14 팀 (60 명) 이 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를 주제로 하여 각자의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그동안 갈고 닦은 구현기술을 적용하여 빠르게 작품을 만들어 경쟁하는 해커톤 형식의 대회에서 “공공 데이터 활용 서비스” 를 출품하여 전체 2 위인 UN 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어냈습니다. ALLAW 팀의 팀장으로 참여한 임희원학생은 “UN, MYSC, 루트임팩트에서 초빙한 강연자들의 사회혁신 비즈니스에 관한 강연을 통하여 사회혁신을 이끄는 개발자로서 발돋움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팀원 모두가 얻을 수 있었다” 며, 특히 “UN 에서 활약하는 초청 강연자가 연세대학교 출신임이 알려져 우리대학 동문의 글로벌 무대에서의 영향력과 컴퓨터과학과 학부생 팀의 노력이 만나 이루어낸 가치 있는 순간으로 기억될 것” 이라고 대회 참여 및 수상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날 해커톤 행사에는 초청강연 위주의 교육 세션 외에도 다채로운 이벤트들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ALLAW 팀원들은 이 중에서 특히 “지스트” 삼행시 공모전 이벤트에서 팀장인 임희원학생이 최다득표 작품을 제출하여 팀원 전원이 크록스, 후드티, 텀블러 등을 이벤트 경품으로 받은 것 또한 소중한 기억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팀 구성원들은 우리대학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 (단장: 인공지능융합대학장 차호정교수님) 의 맥락에서 지난 2023년 겨울방학에 시행된 “AWS X 연세 윈터 캠프” 에 함께 참여한 것을 계기로 빅데이터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공헌형 응용을 제작하는 것에 공통으로 가진 관심을 중심으로 모였으며 "동일한 팀원 구성"으로 국회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https://www.assembly00data.com) 에서도 본선에 참가하고 있는 바 (3월 15일로 예정되었던 본선 및 시상식이 국회의원 총선거 이후로 연기됨), 올해 4월 말에 또다시 주목할만한 성과를 올릴지에 대해 큰 기대를 갖게 하고 있습니다.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6
- 연세대-바텍, 글로벌 의료기기 연구거점 AI센터 개소 (2023-12-04)
- 연세대-바텍, 글로벌 의료기기 연구거점 AI센터 개소 - 연구 주체들과 협업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기반 - 최신 X-RAY CT 기증으로, 의료용 엑스레이 진단장비 공동연구 활성화 기대 연세대학교(총장 서승환)가 글로벌 치과용 진단장비 선도기업 바텍(대표이사 현정훈·김선범)과 16일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연세대-바텍 Accurax Imaging 연구센터(이하 AI 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연세대 서승환 총장, 백종덕 교수(센터장)와 바텍 네트웍스 노창준 회장, 바텍 김선범 대표이사, 최성일 연구소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AI 센터는 연세대와 바텍의 산학협력 거점연구소로, 치과·의료용 엑스레이 진단 장비에 사용될 다양한 기술 요소를 융합 개발한다. 대학-병원-기업 간 효율적 협업 및 최신 설비를 보유한 연구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연세대 신촌캠퍼스에 새롭게 문을 열었다. 바텍은 이번 개소식에서 5억 원 상당의 X-RAY CT 장비를 연세대에 기증했으며, 연구를 위한 대규모 공간과 설비를 마련했다. AI 센터 확장과 최신 CT 장비 마련으로, 의료용 엑스레이 진단 장비 개발에 특화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을 구축하게 됐다. AI 센터는 전문성을 가진 다양한 연구 주체들이 유연하게 참여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형태로 운영된다.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치과대학, 계산과학공학과, 바이오영상데이터 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 주체들이 협업해 ▲치과/의료용 X-RAY 진단 장비 ▲기구 기술 상용화에 필요한 HW ▲임상 자문 등 다양한 융합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바텍 네트웍스 노창준 회장은 “바텍과 연세대는 2010년부터 X-RAY 영상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을 이어왔다. 치과용 CT 분야에서 세계 1위 기업이 된 기반은 끊임없는 기술혁신에서 비롯했다. AI센터를 통해, 치과·의료 시장을 선도할 신기술이 개발되고 빠르게 상용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세대 서승환 총장은 “연세대와 바텍의 의료 인공지능 연구 협력은 획기적인 의료영상 품질 개선을 위한 허브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의료 인공지능 연구를 주도할 차세대 (의사)과학자, 인공지능 엔지니어 및 혁신가를 육성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뉴스룸 바로가기]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5
- '2023 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 대학원생 부문 - 1위, 3위, 대학생 부문 - 1위, 단체상 석권 (2023-08-18)
- 초거대AI 연구 선도"…AI대학원 심포지엄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 인공지능(AI)대학원 심포지엄'을 17~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개최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AI대학원 및 AI융합혁신대학원들의 운영성과를 공유하고 산학 협력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올해 심포지엄은 '변혁의 중심 AI 대학원! 초거대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다'를 주제로 자연어 처리(NLP) 전문가 최은솔인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교수와 컴퓨터 비전 및 로보틱스 전문가인 아브히나브 굽타 미국 카네기멜런대 교수가 기조 강연을 맡았다. 또 개회식에서는 산업계에서 발생하는 AI 이슈에 대해 현장의 실제 데이터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2023 인공지능 이노베이션 챌린지' 시상식이 진행됐다. 총 373개 팀, 944명이 참여한 대회에서 연세대 '딥텍스트'(DeepText) 팀이 대학원 1등, 연세대 '스페이스AI' 팀이 학부 1등을 거머쥐었다. 패널 토론에서는 최종현 연세대 교수, 서민준 KAIST 교수, 최성준 고려대 교수, 신사임 KETI 인공지능연구센터장, 윤상두 네이버클라우드 AI랩 소장 등 국내 최고 AI 전문가들이 모여 '초거대 AI시대에 성공적인 AI 연구 전략'을 논의했다. 아울러 전문가 초청 강연, 박사생들 AI 연구 교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 강연 '튜토리얼', 예비 대학원생과 일반인이 참여할 수 있는 전시 부스와 체험 공간 등도 마련됐다. 이와 함께 올해 AI융합혁신대학원으로 선정된 4개 대학(동국대, 아주대, 부산대, 전남대)에 대한 현판 증정식도 열렸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AI대학원 10곳과 AI융합혁신대학원 9곳을 지원 중이며, 그 결과 2201건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고 413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학계와 산업계가 성과를 공유·확산해 AI대학원 간의 결속과 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밝혔다. 링크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81711012190909 링크2: https://biz.sbs.co.kr/article/20000131834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4
- 2023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1등),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회장상(4등) 및 특별상 수상 (2023-08-16)
- 2023년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가 7월 3일부터 7월 28일까지 개최되었다. 공동 AI경진대회는 SW중심대학 학생들이 SW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하여 문제 해결 경험을 증진하고자 매년 개최되며, 올 해 주제는 위성 이미지 건물 영역 분할(Satellite Image Building Area Segmentation)이었다. 총 51개 SW중심대학 약 970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대학별로 사전에 팀을 구성하여 경쟁을 하였고 발표자료 및 코드를 제출하여 전문가 심사를 통하여 온라인 발표 평가도 이루어졌다. 그 결과 연세대학교 SW중심대학에서 수상팀이 2팀 나왔다. SpaceAI팀의 강재현 (컴과4), 강민용(컴과3), 박선종(컴과4) 학생은 1등을 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0601p팀의 김민서 (컴과4), 박민수 (컴과4) 학생은 4등을 하여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회장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ycs팀의 박윤정 (컴과4), 유소현(컴과4), 김현중(컴과3) 학생은 (주)엘리스그룹의 특별상을 받았다. 2023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 수상팀 1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팀명 : SpaceAI 강재현 (컴과/4) 강민용 (컴과/3) 박선종 (컴과/4) 4등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회장상 팀명: 0601p 김민서 (컴과/4) 박민수 (컴과/4) 특별상 (주)엘리스그룹 팀명: ycs 박윤정 (컴과/4) 유소현 (컴과/4) 김현중 (컴과/3)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3
- 백종덕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STEAM 연구사업(브릿지융합연구개발) 선정 (2023-05-22)
- 백종덕 교수 연구팀이 한국연구재단 STEAM 연구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2023년 4월 ~ 2026년 12월 (3년 9개월) 동안 총 30.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고정밀 로봇수술 영상가이드 기술 AI융합연구단’ 단장으로서 연구팀을 이끌게 된다. 본 연구에는 로봇수술 기업인 고영테크놀러지,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피지훈 교수팀, 그리고 카이스트 AI대학원 심현정 교수팀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게 된다. 본 과제를 통해 연구팀은 원천기술개발에서부터 최종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을 받게 되며, 특히 2단계 (2025년 1월 ~ 2026년 12월)에는 백종덕 교수의 교원창업기업인 (주) 바르넥스 이미징이 기술 고도화에 참여하여 사업화를 위한 공동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2
- 송도경 교수 연구팀, 보안 분야 최고권위 학회 USENIX Security 2023 논문 1편 게재 확정 (2023-05-22)
- 송도경 교수 연구팀, 보안 분야 최고권위 학회 USENIX Security 2023 논문 1편 게재 확정 송도경 교수 연구팀에서 보안 분야 최고 권위 학회 중 하나인 USENIX Security Symposium 2023에 1편의 논문 게재를 확정지었다. 채택된 논문의 제목은 “ReUSB: Replay-Guided USB Driver Fuzzing”으로, 컴퓨터과학과 장지수, 강민석 학생이 공동 1저자로 논문 게재에 기여하였다. 해당 논문에서 송도경 교수 연구팀은 Record-and-Replay 기술을 활용하면 깊은 커널 드라이버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Record-and-Replay를 Fuzzing과 결합하여 커널 드라이버의 깊은 곳에 있는 버그를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Replay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입력의 시간 및 동시성을 고려하고, 또한 입력의 동적 스케줄링까지 수행하여 장치 드라이버 코드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들을 찾아낼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특히 리눅스 커널에서 총 15개의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발견하여, CVE-2022-3628, CVE-2023-1380 등 2개의 CVE(정보보안 취약점 표준코드)를 등재하였다. 또한 해당 취약점들에 대한 패치 작업도 주도하여, 최신 리눅스 커널에서 모든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모두 적용되도록 하였다. Jisoo Jang, Minsuk Kang, and Dokyung Song, “ReUSB: Replay-Guided USB Driver Fuzzing”, 32nd USENIX Security Symposium (USENIX Security), August 2023. (To appear.) A paper by Prof. Song’s team accepted to USENIX Security ‘23 The research group led by Prof. Song has their paper accepted to appear in one of the top-tier security conferences, the USENIX Security Symposium 2023. The accepted paper titled 'ReUSB: Replay-Guided USB Driver Fuzzing' is co-authored by Jisoo Jang and Minsuk Ka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dvised by Prof. Song. In this paper, they proposed a technique that combines Record-and-Replay with Fuzzing to discover bugs in deep kernel driver code, leveraging the fact that Record-and-Replay can trigger deep kernel driver code paths. They consider the timing and concurrency of inputs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play, and perform dynamic scheduling of inputs, demonstrating the ability to uncover previously unknown vulnerabilities in deep driver code paths. In particular, they discovered a total of 15 undisclosed vulnerabilities in the Linux kernel, including CVE-2022-3628 and CVE-2023-1380, two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CVE) numbers assigned to security vulnerabilities. They also took the lead in patching these vulnerabilities, ensuring that all vulnerabilities are patched in the latest Linux kernel.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1
- 김선주 교수 IEEE TPAMI Associate Editor 선임 (2023-04-24)
- 김선주 교수 IEEE TPAMI Associate Editor 선임 컴퓨터과학과 김선주 교수가 2023년 4월부로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TPAMI) 부편집장 (Associate Editor)로 선임되었다. IEEE TPAMI는 Impact Factor 24.31인 Computer Science AI분야의 대표 학술지이며, 김선주 교수는 앞으로 3년간 Editorial Board에서 활동하게 된다. 김선주 교수는 IEEE TPAMI와 더불어 컴퓨터비전 대표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cal of Computer Vision (IJCV) Editorial Board에서도 활동중이다. Professor Seon Joo Kim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IEEE TPAMI Professor Seon Joo Kim joined the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TPAMI) Editorial Board as an Associate Editor. IEEE TPAMI is one of the top journals in Computer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n impact factor of 24.31. Professor Seon Joo Kim will serve in the editorial board for the next 3 years. Professor Seon Joo Kim is also serving in the Editorial Board of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IJCV), one of the top journals in computer vision.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
-
10
- 한민아 박사후 연구원(백종덕 교수 연구실) 세종과학펠로우십 최종 선정 (2023-03-27)
- [사진. 한민아 박사] 연세대학교 한민아 박사후 연구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인 2023 세종과학 펠로우십에 컴퓨터과학-인공지능 응용 분야로 최종 선정됐다. 세종과학 펠로우십은 박사후 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 과학 기술 인재로 성장, 정착할 수 있도록 연구 몰입을 장려해주는 사업이다. 총 5년의 연구 수행 기간동안 직접비 5억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한민아 박사는 연세대학교 학부를 마치고 백종덕 교수 연구실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을 수행했다. 특히 학위과정부터 지금까지 제1저자로 SCI급 국제학술지에 총 9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이중 2018년 의학물리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Medical Physics 저널에 게재된 "3차원 CT 영상의 종양 검출 정확도 평가 모델" 논문은 Editors' choice로 선정되었다. 한민아 박사는 이번 세종과학 펠로우십을 통해 '환자 피폭량 저감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 처리 기술개발'이라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번 연구과제를 통해 환자에 대한 진단성능은 저하하지 않고 방사선 피폭에 대한 위험성은 줄이는 저선량 CT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화질 개선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며, 데이터 생성 방법을 개발해 의료 인공지능 학습의 어려움인 학습데이터 확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 첨단컴퓨팅학부 2025.03.07